Social Economic > 지역혁신경제연대

Social Economic


더불어 아름다운 성장을 이루는 사회적경제기업을 응원합니다.

사회적경제란?

사회적경제 (Social Economy) 개념

자본 중심이 아닌 사람이 중심이 되어 '함께(공생, 협동, 대안, 공유)'의 가치를 지향하는 경제영역으로 삶의 질 증진, 빈곤, 소외극복 등 사회적 가치실현을 위해 협력과 호혜를 바탕으로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협동조합 등 다양한 주체들의 생산, 소비가 이루어지는 경제시스템


사회적경제의 등장배경

사회적경제는 자본주의 시장 경제가 발전하면서 나타난 불평등과 빈부격차, 환경파괴 등 다양한 사회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등장했다.
1800년대 초 유럽과 미국에서는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상호부조조합 커뮤니티비지니스 형태로, 한반도에서는 1920년대 농민협동조합 도시빈곤층의 두레조합 형태로 나타났다. 이후 1960년대 시작된 신용협동조합 운동, 1980년대 생활협동조합 운동이 일어났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에는 구조화된 실업문제, 고용불안, 심화되는 빈부격차, 쇠락하는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활기업,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협동조합 등 사회적경제가 필요하다는 여론이 높아졌다.


사회적경제의 기능

  • 지역을 기반으로 얻은 이윤과 혜택이 다시 지역사회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하여 지역경제활성화에 지속적으로 기여
  • 사회적 배려가 필요한 주민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소득을 만들어주어 자립할 수 있는 기반 마련
  • 사회적경제조직 간의 연결로 지역 사회가 필요로 하는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

사회적경제의 형태


사회적경제의 특징

  • 자발적 참여 : 소외계층, 실업, 빈곤, 주거, 환경 등의 문제해결을 위해 사회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협동.
  • 호혜적 가치 : 사회적경제는 사회적가치에 관심을 두고 구성원들 서로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함.
  • 기여에 따른 분배 : 사회적경제에서는 조직의 지분 소유 정도에 따라 배분을 하는 것이 아니라 참여자가 얼마나 해당 경제조직에서 다양한 활동을 통해 가치 창출을 했는가에 따라서 배분

대표적인 사회적경제 조직유형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근거법령 사회적기업육성법 협동조합기본법 도시재상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사업주관 고용노동부 기획재정부 행정자치부 보건복지부
관련기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사)한국마을기업협회 (재)중앙자활
관련사이트 http://www.socialenterprise.or.kr http://www.coop.go.kr http://마을기업.com http://www.css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