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학교 줄폐교 위기···서울학생 82명 '농촌유학'오니 생긴 일 (2021.04.11) | 중앙일보
전남 지방자치단체들이 농촌으로 유학 오는 서울 학생들을 유치하기 위해 조례를 통한 제도적 기반 만들기에 나섰다. 올해 전남도교육청이 서울시교육청과 손잡고 80여 명의 서울 초·중학생을 전남 학교로 불러들인 후 일어난 변화다.
| 전남 곡성군·해남군 농촌유학 지원 조례 입법
____
해남군 ‘농촌유학 진흥 조례’ 예고
11일 해남군에 따르면 농촌 유학생 유치와 지원을 위한 ‘해남군 농촌유학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안’이 입법예고 됐다. 농촌유학을 늘리기 위한 지원사업 마련과 예산 투입을 법제화하는 것이다. 전남 곡성군은 지난 3월 해남군 조례와 같은 취지의 ‘곡성군 농촌유학 지원 조례’를 제정했다.
전남 외 지역에서 학생을 유치해 학생 수 감소로 폐교 위기에 놓인 지역 학교들을 살리고 농촌 유학을 확대하면서 새로운 지역 소득 방안을 찾기 위한 목적이다. 또 유학 온 학생과 가족이 농촌에 정착하면 지역의 새로운 활력소가 될 수 있다.
현재 전남 곡성군에는 삼기초등학교와 오산초등학교에 8명의 학생이 농촌유학을 와 있다. 해남 삼산초등학교에 2명의 서울 학생들이 농촌 유학을 와 있다. 각 학교 전교생은 ▶해남 삼산초 41명 ▶곡성 삼기초 36명 ▶곡성 오산초 18명 등 작은 학교들이다. 비슷한 처지의 전남 10개 시·군 20개 학교에서 서울지역 초등학생 66명과 중학생 16명 등 총 82명이 농촌유학을 하고 있다.
____
6개월 이상 전남에서 사는 서울 학생들
앞서 전남도교육청은 지난해 12월 서울시교육청 업무협약을 맺고 ‘2021 농산어촌 유학’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도시지역 학생이 6개월 이상 전남 농산어촌에서 개인별 맞춤 교육을 받으면서 생태·환경 체험을 하는 교육과정이다. 학생뿐만 아니라 가족도 함께 유학 올 수 있다.
농촌유학 프로그램은 전남 학교로 오는 학생과 학부모가 전남을 제2의 고향으로 느끼게 하게끔 귀농·귀촌 생활 기회를 제공하고 정착도 유도하는 형태다. 학생과 가족들이 6개월 이상 농촌유학을 하는 동안 전남 지자체로 전입신고도 해야 한다.
전남지역 초등학생 숫자가 ▶2003년 16만4606명 ▶2009년 13만2503명 ▶2019년 9만4991명으로 해마다 줄어들고 인구 소멸 위기에 놓인 전남 지자체들 입장에서는 농촌유학으로 인구 유입을 노릴 수 있어 관심이 쏠린다.
____
주거 시설 등 지자체 협조도 필수
전남유학 프로그램은 크게 ▶농가형 ▶가족 체류형 ▶유학센터형 3가지로 나뉜다. 농가형은 학생이 학교에 다니는 지역 농가에서 생활한다. 가족 체류형은 학생이나 가족이 이주해 마을 또는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주택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인구유입 효과가 크다.
곡성군은 2018년과 2019년 서울과 경상권 학생과 가족들을 대상으로 단기 농촌유학 프로그램을 단독 진행했었는데 참가자들이 귀농·귀촌에 긍정적 반응을 보여 이번 조례 제정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전남도교육청 관계자는 “농촌유학 오는 학생과 가족이 사는 시설·주택 개선 부분이 필수적인데 교육청에서 직접 투자가 어렵다”면서 “최근 개별 학교나 마을에서도 농촌유학에 참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묻는 문의가 늘어나는 데 지자체에서 앞장서 조례로 지원하면 프로그램 확대가 더 수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해남군과 곡성군뿐만 아니라 나머지 전남 시·군 지자체에서도 농촌유학을 지원하기 위한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해남군 관계자는 “농촌유학을 지원할 수 있는 근거가 서울뿐만 아니라 다른 도시지역으로 확대될 수 있고 시골로 올 수 있는 학생 수가 더 많아질 것”이라며 “신규 조례 지정 외에도 기존에 있는 귀농·귀촌 관련 조례를 개정해 농촌유학을 지원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지자체들이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해남·곡성=진창일 기자 jin.changil@joongang.co.kr